1.한국 인터넷의 역사
한국 최초의 인터넷은 1982년 5월 15일 전길남 박사가 주도하여 서울대학교와 한국전자기술 연구소(현 ETRI) 사이에 구축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한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 연결에 성공한 나라가 되었다.
1999년 초고속 인터넷이 보급된 이후 포털사이트 붐이 일어났는데, 2000년대 초반까지 인기를 끌었던 포털사이트는 야후, 다음, 네이버, 프리챌, 라이코스, 아이러브스쿨, MSN, 드림위즈 등이었다. 기존 PC통신 업체였던 하이텔, 나우누리, 천리안, 넷츠고, 유니텔 역시 전부 포털 진출을 선언했으며 이에 따라 2000년대 초반에는 1세대 포털사이트와 PC통신이 IT 시장에서 공존하였다. 2003년까지 대한민국 포털사이트 점유율 1위는 다음이었고, 이후 2위로 네이버, 야후! 코리아, 프리챌, 아이러브스쿨, 드림위즈 등이 나란히 경쟁하는 구조였다.
2000년대 중반, 대한민국 인터넷 시장은 한 차례 변화를 맞았다. 네이트와 싸이월드의 급부상으로 인해 기존의 1세대 포털사이트들은 그 위상을 잃고 쇠퇴하기 시작했다. 2002년 가입자 1,500만명을 보유하던 프리챌은 유료화 선언으로 이용자들이 싸이월드로 대거 이전하였고 결국 다음 해인 2003년 파산했다. 거대 포털이었던 다음과 야후코리아는 지식인, 블로그, 카페 서비스로 급부상한 네이버에 점유율 1위를 내어주며 쇠퇴했다. 또한 2000년대 초반까지 1세대 포털과 공존했던 PC통신 역시 시장에서 완전히 퇴장당했다. 2000년대 중~후반의 인터넷 포털은 디지털카메라의 넓은 보급으로 이전과 다르게 사진, 동영상 등을 개시하는 문화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싸이월드의 미니홈피 서비스가 4000만명이 넘는 가입자 수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2010년대에 들어서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인터넷 역시 모바일 문화와 결합하여 시장의 형태가 바뀌게 되었다. 기존의 싸이월드와 네이트는 모바일 서비스에 전혀 대비하지 못해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시작된 2011년부터 외국계 모바일 SNS인 트위터에 점유율을 뺏기고 시장에서 도태되었으며, 다음과 야후! 코리아 등의 기타 포털 사이트들도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위기를 맞았다. 현재 2022년 대한민국의 PC 포털사이트는 모바일 시장에 밀려 대중성을 잃었으며, 모바일 시장에 맞춘 구글과 네이버 등만이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그럼 인터넷은 뭘까?
인터넷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인터넷이란 이름은 컴퓨터를 하나의 통신망 안에 연결(International Network)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를 줄여 인터넷(Internet)이라고 처음 명명하였던 데 어원을 두고 있다. 이후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면서 컴퓨터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연결되어 TCP/IP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게 되었다.
인터넷 네트워크를 본격적으로 구축한 최초의 사례는 미국 국방성의 아르파넷이다.
아르파넷은 초기엔 연구목적으로 쓰였으나 참여하고자 하는 기관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아르파넷을 쓰고자 하는 요구가 많아졌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국방성은 군사용 네트워크 기능을 밀넷으로 분리하고, 아르파넷은 민간용 네트워크가 되었다.
인터넷은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집합(TCP/IP)을 사용해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지구 전체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인터넷은 개인, 학교, 기업, 정부 네트워크 등을 한정적 지역에서 전체 영역으로 유선, 무선, 광케이블 기술 등을 통해 연결하여 구성한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이다. 인터넷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나 전자 우편을 지원하는 기반 기술 등을 통해 광대한 범위의 정보 자원과 서비스들을 운반한다.
'Internetwork'의 약어인 'internet'과 구별하기 위해 고유명사 인터넷은 'Internet' 또는 'INTERNET' 등으로 표기한다. 인터넷은 소규모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형태에서 점차 발전하여 전 세계를 망라하는 거대한 통신망의 집합체가 되었다. 인터넷에는 PC 통신처럼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이 되는 호스트 컴퓨터(서버 컴퓨터)도 없고 이를 관리하는 조직도 없다. 인터넷을 대표하는 조직으로 ISOC(Internet Society)가 있긴 하나 인터넷을 총괄 관리하는 기구는 아니다. 그러나 인터넷을 총괄적으로 관리하지는 않지만 어떤 컴퓨터 또는 통신망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통신망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실제의 관리와 접속은 세계 각지에서 분산적으로 행해진다.
인터넷과 모바일 등 뉴미디어가 빠르게 보급되면서 TV로 방송 콘텐츠를 즐기는 사람이 줄었다. 신문이나 도서 등의 출판물들도 웹사이트 기술에 맞춰 새롭게 구현되었는데, 블로그나 RSS 등과 같은 형태로 독자들에게 서비스되었다. 인터넷에 의해 사람들의 소통방식도 인스턴스 메시지, 인터넷 포럼, SNS 등으로 진화해 나갔다. 아웃렛이나 소규모 상인, 도매상의 영역에서도 온라인 쇼핑몰이 거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인터넷을 통한 [ 거래]]와 금융서비스 등에 의해 전체 유통체계도 영향을 받게 되었다.
추가로 덧붙이자면, 인터넷이 탄생하게 된 직접적 요인은 미국과 소련 사이에 치열했던 국가적 경쟁이라고 볼 수 있고 이 과정에서 GPS 또한 발전됐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인터넷이란 이름은 컴퓨터를 하나의 통신망 안에 연결(International Network)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를 줄여 인터넷(Internet)이라고 처음 명명하였던 데 어원을 두고 있다. 이후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면서 컴퓨터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연결되어 TCP/IP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게 되었다.
인터넷 네트워크를 본격적으로 구축한 최초의 사례는 미국 국방성의 아르파넷이다.
아르파넷은 초기엔 연구목적으로 쓰였으나 참여하고자 하는 기관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아르파넷을 쓰고자 하는 요구가 많아졌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국방성은 군사용 네트워크 기능을 밀넷으로 분리하고, 아르파넷은 민간용 네트워크가 되었다.
인터넷은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집합(TCP/IP)을 사용해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지구 전체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인터넷은 개인, 학교, 기업, 정부 네트워크 등을 한정적 지역에서 전체 영역으로 유선, 무선, 광케이블 기술 등을 통해 연결하여 구성한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이다. 인터넷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나 전자 우편을 지원하는 기반 기술 등을 통해 광대한 범위의 정보 자원과 서비스들을 운반한다.
'Internetwork'의 약어인 'internet'과 구별하기 위해 고유명사 인터넷은 'Internet' 또는 'INTERNET' 등으로 표기한다. 인터넷은 소규모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형태에서 점차 발전하여 전 세계를 망라하는 거대한 통신망의 집합체가 되었다. 인터넷에는 PC 통신처럼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이 되는 호스트 컴퓨터(서버 컴퓨터)도 없고 이를 관리하는 조직도 없다. 인터넷을 대표하는 조직으로 ISOC(Internet Society)가 있긴 하나 인터넷을 총괄 관리하는 기구는 아니다. 그러나 인터넷을 총괄적으로 관리하지는 않지만 어떤 컴퓨터 또는 통신망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통신망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실제의 관리와 접속은 세계 각지에서 분산적으로 행해진다.
인터넷과 모바일 등 뉴미디어가 빠르게 보급되면서 TV로 방송 콘텐츠를 즐기는 사람이 줄었다. 신문이나 도서 등의 출판물들도 웹사이트 기술에 맞춰 새롭게 구현되었는데, 블로그나 RSS 등과 같은 형태로 독자들에게 서비스되었다. 인터넷에 의해 사람들의 소통방식도 인스턴스 메시지, 인터넷 포럼, SNS 등으로 진화해 나갔다. 아웃렛이나 소규모 상인, 도매상의 영역에서도 온라인 쇼핑몰이 거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인터넷을 통한 [ 거래]]와 금융서비스 등에 의해 전체 유통체계도 영향을 받게 되었다.
추가로 덧붙이자면, 인터넷이 탄생하게 된 직접적 요인은 미국과 소련 사이에 치열했던 국가적 경쟁이라고 볼 수 있고 이 과정에서 GPS 또한 발전됐다고 볼 수 있다.
댓글